-
[ 목차 ]
대상포진은 수두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50세 이상의 성인에게 나타나며 심한 통증과 후유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을 통해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주요 도시별 무료접종 대상자 및 지원 현황
각 지자체에서는 대상포진 예방접종 지원 사업을 통해 특정 연령대와 소득 수준의 주민들에게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백신을 제공합니다.
서울시: 일부 자치구에서는 65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무료접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동구 보건소는 60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 중 고연령,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를 우선 접종 대상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부산광역시: 부산시는 65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무료접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일부 자치구에서는 60세 이상의 주민에게도 무료접종을 실시하고 있으니, 거주하시는 구청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대구광역시: 대구시는 65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무료접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일부 자치구에서는 60세 이상의 주민에게도 무료접종을 실시하고 있으니, 해당 구청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광주광역시: 광주시는 65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무료접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일부 자치구에서는 60세 이상의 주민에게도 무료접종을 실시하고 있으니, 거주하시는 구청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주특별자치도: 2025년부터 50세 이상의 의료급여 수급권자를 대상으로 무료접종을 확대하였습니다. 지원 대상자는 접종일 기준 제주특별자치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고 50세 이상 의료급여 수급권자입니다. 신분증과 의료급여수급자 증명서를 지참하면 가까운 보건소에서 무료로 접종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지원은 각 지자체의 예산과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거주하시는 지역의 보건소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접종시 평균가격
대상포진 백신의 가격은 의료기관과 백신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조스타박스: 2022년 기준 평균 접종 비용은 약 16만 6,000원으로, 최소 9만 원에서 최대 40만 원까지 다양합니다.
스카이조스터: 2022년 기준 평균 접종 비용은 약 14만 6,000원으로, 최소 8만 원에서 최대 30만 원까지 다양합니다.
싱그릭스: 2023년 기준 평균 접종 비용은 약 50만 원으로, 최소 40만 원에서 최대 60만 원까지 다양합니다.
이러한 가격은 의료기관의 정책, 지역, 백신의 공급 상황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접종을 고려하신다면 여러 의료기관의 가격을 비교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대상포진의 증상과 후유증
대상포진은 수두 바이러스가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저하되면 재활성화되어 발생합니다.
초기에는 감기몸살과 유사한 증상(무기력함, 피로감, 오한 등)이 나타나며, 이후 피부에 띠 모양의 발진과 수포가 생깁니다. 이러한 발진은 신체의 한쪽에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발진과 함께 심한 통증이 동반되며, 이는 따끔거리거나 화끈거리는 느낌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발진이 치유된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얼굴이나 귀 근처에 발생한 경우 시력 저하, 안면마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의 필요성
대상포진은 면역력이 저하된 고령층에서 발생률이 높습니다. 예방접종을 통해 대상포진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발병하더라도 증상을 완화하고 후유증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만성 통증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예방이 중요합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 시 고려사항
접종 시기: 면역력이 저하되는 환절기나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에 대상포진 발병률이 높아지므로, 이러한 시기를 피하여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기관 선택: 접종 비용과 백신 종류, 의료기관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후유증 관리: 접종 후 통증이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대상포진은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므로, 특히 고위험군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예방접종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